평산 신씨(平山 申氏)에 대(對)하여
1. 시조(始祖) : 신숭겸(申崇謙)
2. 유래(由來) :
시조(始祖) 신숭겸(申崇謙)은 전라남도(全羅南道) 곡성(谷城) 사람으로 태봉(泰封)의 기장(騎將)이었는데, 배현경(裵玄慶). 홍 유(洪儒). 복지겸(卜智謙)과 더불어 궁예(弓裔)를 폐(廢)하고 왕건(王建)으로 왕(王)으로 추대(推戴)하여 고려(高麗)를 건국(建國), 개국원훈(開國元勳)으로 대장군(大將軍)이 되었다.
그는 927년태조(太祖) 10 대구 공산(大邱公山) 동수전투(桐藪戰鬪)에서 견훤군(甄萱軍)의 포위(包圍)로 전세(戰勢)가 위급(危急)해지자 태조(太祖)와 용모(容貌)가 비슷한 그는 태조(太祖)를 피신케 하고 대신 어거를 타고 출전(出戰)하여 전사(戰死)하였다.
태조(太祖)는 그의 유해(遺骸)를 춘천(春川)에 예장(禮葬)케 하고 벽상호기태사 개국공 삼중대광 의경익대광위 이보지절 저정공신(壁上虎騎太師開國公三重大匡毅景翊戴匡衛怡輔底節底定功臣)에 추봉(追封)하고, 시호(諡號)를 장절(壯節)로 내렸다.
3. 본관연혁
평산(平山)은 황해도(黃海道) 남동(南東)쪽에 위치(位置)한 지명(地名)으로 평주(平州)의 다른 이름이다. 고구려(高句麗) 때에는 대곡군(大谷郡) 또는 다지실(多知悉)이라 하였으며, 747년(신라 경덕왕 6) 대곡성(大谷城)을 설치(設置)하였고, 757년(경덕왕 16)엔 영풍군(永豊郡)으로 명칭(名稱)을 바꾸었다. 783년(선덕여왕 4)에는 진(鎭)을 두고 한주(漢州)에 예속시켰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명칭(名稱)을 평주(平州)로 바꾸었고, 성종(成宗) 때 방어사(防禦使), 현종(顯宗) 때는 지주사(知州事)를 두었다. 1272년(원종 13)엔 복흥군(復興郡) 즉 배천(白川)에 잠시 예속(暫時隸屬)되었다가 충렬왕(忠烈王) 때 다시 복구(復舊)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평산(平山)으로 바꾸고 도호부(都護府)로 승격(昇格)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으로 평산군(平山郡)으로 개편(改編)하였고, 1914년 군면(郡面) 폐합(廢合)으로 남서부(南西部) 의 일부(一部)를 연백군(延白郡)에 이속(移屬)시켰다.
4. 묘소(墓所)
강원도(江原道) 춘성군(春城郡) 서면(西面) 방동리(芳洞里)에 있고 음력(陰曆) 3월 3일과 9월 9일에 향사(享祀)한다.
5.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신효(申曉) : 문과(文科) 태종2년(1402) 식년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신영(申瑛, 1499 己未生) : 문과(文科) 중종18년(1523)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계화(申啓華, 1499 己未生) : 문과(文科) 숙종12년(1686)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수(申○, 1693 癸酉生) : 문과(文科) 영조11년(1735)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익(申○, 1728 戊申生) : 문과(文科) 영조35년(1759)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사찬(申思贊, 1738 戊午生) : 문과(文科) 영조44년(1768)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대승(申大升, 1731 辛亥生) : 문과(文科) 영조46년(1770)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엄(申○, 1734 甲寅生) : 문과(文科) 정조6년(1782)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헌조(申獻朝, 1752 壬申生) : 문과(文科) 정조13년(1789) 춘당대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봉조(申鳳朝, 1745 乙丑生) : 문과(文科) 정조19년(1795)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평산신씨(平山申氏)는 조선(朝鮮) 후반기(後半期)에 세를 떨친 명문으로 상신 8명, 대제학 2명, 공신 11명, 문과 급제자 186명을 배출(輩出)한 명문(名門)이다.
(문과 178명, 무과 90명, 사마시 560명, 역과 5명, 의과 2명, 음양과 1명)
7. 계파
- 사간공파(思簡公派 : 浩) - 30%
- 문희공파(文僖公派 : ) - 30%
- 제정공파(齊靖公派 : 孝昌) - 25%
- 정언공파(正言公派 : 曉)
- 한성윤공파(漢城尹公派:夏)등이 있다.
8. 파계는 시조 14세손에서 19계파
평산신씨 파명록
- 밀직공파(密直公派)
- 봉상윤공파(奉常尹公派)
- 장령공파(掌令公派)
- 현령공파(縣令公派)
- 문희공파(文僖公派)
- 정언공파(正言公派)
- 한성윤공파(漢城尹公派)
- 사간공파(思簡公派)
-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 온수감공파(溫水監公派)
- 제정공파(齊靖公派)
- 전서공파(典書公派)
- 이상공파(貳相公派)
- 판사공파(判事公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 감찰공파(監察公派)
- 판윤공파(判尹公派)
- 참판공파(參判公派)
- 군수공파(郡守公派)
9. 역대 중요 인물
신군평 : 고려, 어사대부.
신효창 : 조선, 시호 재정, 호조판서.
신 상 : 조선, 시호 공도, 예조판서.
신 개 : 조선, 시호 문희, 우의정.
신 상 : 조선, 시호 문절, 이조판서.
신 잡 : 조선, 시호 충헌, 병조판서.
신 립 : 조선, 시호 충장, 도순변사.
신 점 : 조선, 시호 충경, 예조판서.
신 흠 : 조선, 시호 문정, 영의정.
신경진 : 조선, 시호 충익, 영의정.
신경유 : 조선, 시호 경의, 병마절도사.
신익성 : 조선, 시호 문충, 도총관.
신경인 : 조선, 시호 충도, 어영대장.
신 준 : 조선, 시호 충정, 예조판서.
신 완 : 조선, 시호 문장, 영의정.
신 정 : 조선, 시호 문숙, 이조판서.
10. 주요세거지
- 강원도 이천군 방우면 가여주리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
-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중현리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중산리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서만리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복성동
- 전라북도 완도군 소안면 미라리
- 전라북도 임실군 신덕면 수천리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대지리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산리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
-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신흥리
- 평안북도 영변군 남송면 봉지동
- 황해도 금천군 구이면 관문리
11. 평산 신씨 항렬표
◎ 평산신씨 31세 이전 항렬표와 32세부터는 통합한 항렬표임.
통합이전의 각파 항렬표 | ||||||||
계파(系派)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
제정공파(齊靖公派) |
응(應) |
문(文) |
재(在) |
진(鎭) |
태(泰) | |||
밀직공파(密直公派) |
광(光) |
주(柱) |
대(大) |
주(周) |
의(義) | |||
봉상윤공파(奉尙尹公派) |
광(光) |
종(宗) |
석(錫) |
한(韓) |
환(煥) | |||
장령공파(掌令公派) |
변(?) |
범(範) |
영(永) |
상(相) |
희(熙) | |||
현령공파(縣令公派) |
언(彦) |
성(成) |
명(命) |
변(?) |
희(熙) | |||
문희공파(文僖公派) |
악(岳) |
광(匡) |
동(東) |
기(奇) |
희(熙) | |||
정언공파(正言公派) |
응(應) |
문(文) |
재(在) |
진(鎭) |
수(秀) | |||
계파별 통합된 항렬표 |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
○균(均) |
현(鉉)○ |
○철(澈) |
동(東)○ |
○섭(燮) |
재(載)○ |
○호(鎬) | ||
○규(圭) |
언(彦)○ |
○식(湜) |
상(相)○ |
○용(容) |
숙(璹)○ |
○진(鎭) | ||
○노(老) |
윤(允)○ |
○순(淳) |
영(榮)○ |
○항(恒) |
기(基)○ |
○일(鎰) | ||
○곤(坤) |
종(鍾)○ |
○영(泳) |
주(柱)○ |
○환(煥) |
배(培)○ |
○련(鍊) |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
제(濟)○ |
○근(根) |
성(性)○ |
○용(用) |
원(元)○ |
○필(弼) |
단(段)○ | ||
준(濬)○ |
○화(和) |
충(忠)○ |
○익(翼) |
완(完)○ |
○우(雨) |
승(承)○ | ||
원(源)○ |
○병(秉) |
찬(燦)○ |
○중(重) |
극(棘)○ |
○남(南) |
제(齊)○ | ||
홍(洪)○ |
○집(集) |
덕(德)○ |
○식(軾) |
욱(旭)○ |
○설(卨) |
녕(寧)○ |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
○무(武) |
홍(弘)○ |
○염(廉) |
재(宰)○ |
○정(廷) |
규(揆)○ |
| ||
○빈(斌) |
세(世)○ |
○용(庸) |
화(華)○ |
○승(升) |
등(登)○ |
| ||
○성(成) |
경(卿)○ |
○경(慶) |
상(常)○ |
○연(延) |
계(癸)○ |
| ||
○무(茂) |
기(起)○ |
○강(康) |
행(幸)○ |
○성(聖) |
봉(奉)○ |
|
12. 평산 신씨 집성촌
- 경북 칠곡군 약목면 복성동
- 강원도 이천군 방우면 가려주리
- 경남 밀양군 무안면 중산리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산리
- 경남 남해군 서면 중현리
- 충남 예산군 봉산면 대지리
- 황해도 금천군 구이면 관문리
- 전북 임실군 신덕면 수천리
- 평북 영변군 남송면 봉지동
13. 평산 신씨 인구수
2000년 인구조사에 의하면 평산신씨는 496,874명으로 나타남.
평산신씨 종친회 :
14. 연락처
- 평산 평산신씨 대종회 02) 776 - 6111 서울 특별시 중구 수하동 6번지
- 평산 평산신씨대종중 02-776-7978 서울-중-수하-6(용궁B601)
- 평산 평산신씨 사간공파종중 02-588-4136 서울-서초-서초3-1597-4(서초B/D1층관리실)
- 평산 평산신씨종친회 02-2273-314. 평산 신씨 880 서울-중-충무로3-24-1(아세아빌딩1층관리실)- 평산 평산신씨 부산경남화수회 051-463-9616 부산-중-중앙동6-72...(동방빌딩606호)
- 평산(申)무주군 화수회 063-322-0266
- 대전시 동구 성남2동 501-26 sin00425@yahoo.co.kr
- 평산(申) 무주군화수회
- 대전사무실 042-672-2402
- 대전시 동구 성남2동 501-26호 sin00425@yahoo.co.kr
- 부천시 평산신씨 화수회 032-611-7000
- 부천시 원미구 심곡2동 405-7 ppp6050@hanmil.net
- 평산신씨 전남도화수회 062-223-7994 광주-동-학2-857-7(6층)
15. 평산신씨 인터넷 사이트
-
- 평산신씨
- 시조 소개, 선조유적지, 족보개념 및 유래, 항렬도, 역사인물 수록.
- www.pyeongsan.com/ 가족 > 족보, 계보 > 성씨, 본관
-
- 평산신씨종친회
- 평산신씨 종친회입니다.
- cafe.naver.com/ps300/
- 평산신씨종친회
-
- 대한민국 평산신씨 종친회
- 평산 신씨(平山 申氏) 들의 정(情)이 살아 숨쉬는 곳 평산 신씨와
- cafe.daum.net/pyoungsanshin/
- 대한민국 평산신씨 종친회
-
- ▒▒▒평산신씨 종중▒▒▒
- ★☆★☆★평산신씨에 관한 방대한 자료를 모았습니다★☆★☆★
- cafe.daum.net/munheegong/
- ▒▒▒평산신씨 종중▒▒▒
-
- 평산신씨 판사공파
- 본 카페는 평산신씨 판사공파의 홈페이지로서 선조님을 우러러
- cafe.daum.net/shin2k/
- 평산신씨 판사공파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모순되는 문제를 `역발상` 전략으로..."트리즈가 뜬다"(TRIZ ?) (0) | 2015.11.18 |
---|